광교 판교 한자, 의미 알아보기

우리나라 2기 신도시 중 광교(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판교(경기도 성남시)는 명칭이 모두 ‘교’로 끝납니다. 같은 한자인지 다른 한자인지, 어떤 한자를 사용하는지 궁금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광교 판교 한자

광교(光敎)는 한자로 ‘빛 광’, ‘가르칠 교’를 사용합니다. 판교(板橋)의 한자는 ‘널빤지 판’, ‘다리 교’입니다.

광교의 ‘교’는 ‘가르치다’의 의미, 판교의 ‘교’는 ‘다리(교량)’의 의미입니다. 서로 다른 한자를 사용하며 의미도 다릅니다.

 

참고로, 청계천에 있는 다리 ‘광교(廣橋)’는 ‘넓은 광’과 ‘다리 교’를 사용합니다.

‘판교’라는 지명은 성남시에 있는 2기 신도시 외에도 충남 서천군 판교면에도 있는데요, 같은 한자를 사용합니다.

 

의미

광교

‘광교’라는 지명은 광교산과 관련이 있습니다. 광교산은 고려 이전에는 광악산(光岳山), 광옥산(光獄山)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광악산에서 ‘악’은 ‘큰 산 악’으로, 관악산의 ‘악’과 같은 한자입니다. 광옥산의 한자 ‘옥’은 ‘옥 옥’입니다. ‘구슬 옥’이 아니라 ‘감옥 옥’입니다. 왜 감옥이라는 의미의 한자를 썼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고려 태조 왕건이 산에서 광채가 솟아오르는 광경을 보고, 부처님이 가르침을 주는 산이라는 의미로 ‘광교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다른 가설로는 오래 전 이 산에서 도를 닦은 도사가 제자를 가르쳐 후세에 빛이 되어 ‘광교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판교

판교는 널빤지 다리라는 뜻입니다. 판교에 있는 운중천 위에 널빤지로 만든 다리가 놓여있어 순우리말로 ‘널다리(너더리)’ 마을이라고 불렀었다고 합니다. 그 의미를 한자로 ‘판교’라고 표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초기에 ‘판교’라는 지명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그 기록이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현재 판교 지역은 과거에 ‘낙생’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불렸다고 합니다.

 

광교산 더 알아보기(위키백과)

 

판교 더 알아보기(위키백과)